본문 바로가기
삶의지혜

저소득층 기준 잘 알아야 혜택도 받을수 있다

by 양영이0925 2021. 7. 11.

소득을 파악할 때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으로 파악을 하는데요. 저소득층 기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국가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분은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근로소득

상시 근로자 3개월 이상 고용되어 월 급여를 받는 자
일용 근로자 1. 근로계약에 따라 고용주에게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고용되지 않은 자
2. 건설공사 종사자(1년 이상 고용된 자 제외)
자활 근로 소득 자활근로, 자활기업, 취업성공패키지의 일경험지원프로그램 등 자활급여의 일환으로 참여 소득
공공 일자리 소득 노인일자리사업, 장애인일자리사업, 공공근로 등 참여 소득
농업소득 경종업, 과수, 원예업, 종묘업, 특수작물생산업, 가축사육업, 종축업 또는 부화업 등에서 얻는 소득
임업소득 영림업, 임산물생산업 또는 야생조수사육업에서 얻는 소득
어업소득 어업과 이에 부수하는 업무에서 얻는 소득
기타 사업소득 도매업, 제조업, 소매업, 기타 사업에서 얻는 소득

 

이전소득

사적 이전소득 부양비 등
공적 이전소득 정부 재난지원금 등
국외 기타소득 외국정부에서 지급하는 연금급여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소득층에서 중간을 차지하는 소득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교육급여(50%) 913,913 1,544,040 1,991,975 2,438,145
주거급여(45%) 822,524 1,389,636 1,792,778 2,194,331
의료급여(40%) 731,132 1,235,232 1,593,580 1,950,516

 

법정 차상위계층

구분 차상위계층 조건
법정차상위 1 차상위 자활근로참자가 자활에 필요한 사업에 참가하는 자
2 차상위 본인부담경감자 희귀난치성질환자 등으로 본인부담액을 경감받는 자
3 차상위 장애(아동)수당 수급자 장애아동수당 수급자
4 차상위 한부모가족 보호대상자 한부모가족으로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2%이하
5 차상위 장애인연금 부가급여 수급자 장애인연금 수급자
일반 6 차상위 확인서 발급 대상자 중위소득 50% 이하

 

한부모가족

구분 내용
한부모가족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
조손가족 부모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을 (외)조부 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가족
청소년 한부모가족 한부모가족으로서 부 또는 모의 연령이 만 24세 이하인 가족

 

중위소득 기준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중위소득 1,827,831 3,088,079 3,983,950 4,876,290 5,757,373 6,628,603
한부모가족 선정기준(기준중위소득 60%이하)   1,852,847 2,390,370 2,925,774 3,454,424 3,977,162
근로소득공제 30% 적용금액   3,646,924 3,414,814 4,179,677 4,934,891 5,681,660

이 기준을 중심으로 판단되니 2021년 저소득층 기준을 잘 살펴 보신 후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시면 됩니다.